겨울이 되면 중년남성은 거의 대부분 전립선 때문에 긴장하게 된다. 소변이 더 자주 마렵고 화장실만 보면 일단 '볼일'을 보러 들어가게 된다. 50대 이상의 남성에게는 전립선비대증을 비롯한 전립선 질환이 피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그런데, 전립선비대증으로 고민하는 젊은 남성도 많아지고 있다. 전립선은 소변 배출 통로인 요도를 감싸고 있는 남성의 생식기관이다. 전립선이 비대해지면 요도를 압박하게 되고 원활한 배뇨가 어려워진다. 그 정도가 심해지면 전립선비대증이라고 부르는 질병이 된다.
▶전립선비대증에 걸리는 젊은이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5년 105만1248명에서 2019년 131만8549명으로 4년 사이 약 25% 증가했다. 환자수는 50대 이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청장년층의 증가율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으로 내원한 20대 환자는 2015년 1822명에서 2019년 2942명으로 약 61% 증가했다. 30대 역시 이 기간에 1만 438명에서 1만 3257명으로 27% 증가하면서 50대(12%)와 60대(26%)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게다가 병원을 찾지 않는 '수줍은 젊은층'을 포함하면 젊은층의 전립선 문제는 더 심각할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 증상과 예방
전립선비대증의 대표적 증상은 소변이 지나치게 자주 마려워 화장실 자주 드나드는 빈뇨, 밤에 자다가도 소변을 보기 위해 일어나는 야간 빈뇨, 소변을 본고 난 후에도 개운하지 않은 잔뇨감 등이다. 소변을 전혀 보지 못해 응급실을 찾는 급성 요폐 증상도 드물게 나타나는 전립선비대증 증상의 하나다. 이는 요로 감염이나 신장 기능 손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원인은 남성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면서 전립선이 비대해지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유전적 요인이나 비만, 고혈압, 당뇨 등도 전립선비대증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젊은층의 전립선비대증 원인으로는 오랜 시간 자리에 앉아서 일하기, 운동 부족, 비만을 부르는 식습관,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이 꼽힌다.
자전거와 전립선의 관계에 대한 관심도 크다. 전립선은 매우 부드럽고 민감하기 때문에 안장이 회음부를 강하고 지속적으로 압박하면 소변이 전립선 쪽으로 역류해 전립선에 세균이 침입해 전립선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립선비대증이나 전립선 질환이 의심되면 자전거를 너무 오래 타지말고 30분에 5분씩은 쉬어주라고 전문가들은 권장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 예방
젊은층의 전립선비대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카페인 음료의 섭취를 줄이고 음주를 자제하는 것이 기본이다. 좌욕이나 따뜻하게 풀어주는 것은 전립선 건강에 도움이 된다.
젊다고 무시하거나, 부끄러워 방치하는 일은 전립선 건강을 해치는 지름길. 증상이 의심되면 병원을 찾아 전립선 초음파 검사와 요속검사, 소변검사 등을 통해 전립선 건강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