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새우에서 추출한 크릴오일에 다른 기름이 섞인 제품들이 수입돼 유통된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사진 나무위키
크릴새우에서 추출한 크릴오일에 다른 기름이 섞인 제품들이 수입돼 유통된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사진 나무위키

혈액순환과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한때 선풍적 인기를 끈 크릴새우 오일 제품 중 다른 오일을 혼합한 제품이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100% 크릴오일'로 신고해 수입한 제품 22개에서 다른 성분의 유지(기름)가 혼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식약처는 지난 6~7월 국민 다수의 추천을 받아 국민청원 안전검사 대상으로 선정된 크릴오일 제품 중 8~11월 시중에 유통된 55개 제품을 수거해 지방산 조성 함량과 신선도(산패도) 등을 검사했다. 그 결과, 22개 제품에서 크릴오일 외 다른 유지가 혼합된 것을 확인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구체적으로 △메디스 슈퍼 크릴오일(수입업소명 더블유에이치글로벌) △남극 킹 크릴(동호팜) △퍼스트랩 레드크릴오일(빅썸) △프로허브 크릴(제이엘) △천호엔케어 프리미엄 크릴오일 1000(푸치니) △로얄 크릴오일(홀라이프) △남극 크릴오일 1300 골드(그린뉴트리 코리아) △웰 파워크릴1350(보령메디) △크릴오일(아포스캐리) △메가 크릴오일1200(엘엔비내츄럴) △이지 레드 크릴(이지메디칼) △트루맥스 크릴 1350(제이에스헬스케어) △안타티카 크릴오일(아워네이처, 현 헬로바이오) △프리미엄 레드 크릴오일(휴젠팜) △웰빙 크릴오일 1200(에이스팜) △남극파워크릴(이알엠) △56플러스 크릴오일(한미통상) △원데이 크릴 1200(세움커머스) △에크미 파워 크릴오일(제이에스헬스케어) △트루웰 크릴오일 1300(파미스코리아 주식회사) △이지 크릴 오일(이지메디칼) △남극 크릴오일 1200 골드(미래바이오)다.

통상 크릴오일에는 리놀레산이 3% 이하 함유돼 있는데, 이들 제품에서는 리놀레산이 21.1~49.1%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식물성 유지가 혼합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식약처는 해당 22개 제품을 수입 신고한 업체를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위반으로 고발하고 행정처분을 내릴 예정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다른 유지가 혼합된 22개 제품을 구매하지 말아달라"며 "크릴오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된 제품이 아닌 일반식품이므로 검증되지 않은 부당광고에 현혹되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