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탱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어서 주로 미용을 위해 많이 활용되는 콜라겐이 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암세포 주변에 콜라겐이 많이 있으면 암세포가 수면상태에 머무는데, 콜라겐으로 암세포가 계속 휴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서 종양 재발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게재된 미국 뉴욕 마운트시나이 의대 티쉬암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세포는 '제3형 콜라겐'을 분비하면서 조용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 콜라겐 수치가 낮아지면 악성으로 변한다.
미국의 과학매체 '사이언스 데일리(Science Daily)'에 따르면, 호세 하비에르 브라보-코르데로 티쉬암연구소 의학부 부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종양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어 임상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휴면 세포의 각성을 방해하고 전이성 성장을 막기 위한 치료 전략으로 제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종양의 휴면상태라는 생명작용이 밝혀지고, 특정 신약이 개발되면 휴면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와 휴면 유도요법을 결합해 궁극적으로 재발과 전이를 방지하고 암 완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살아있는 동물에서 휴면 세포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인 특수 현미경을 포함한 고해상도 영상 기술을 사용했다. 이 기술은 연구진이 유방암과 두경부암 세포주를 이용해 마우스 모델에서 휴면종양세포를 추적할 수 있게 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해 종양세포가 휴면기에 접어들면서 세포외기질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 세포들이 깨어났을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시각화함으로써 암 치료의 길을 연 셈이다.
연구팀은 "우리 연구는 주요 부위에서 암세포의 휴면 상태를 유도, 유지함으로써 암세포가 다시 깨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제3형 콜라겐의 잠재적인 치료적 사용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