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가 만든 코로나19 치료 알약 ‘팍스로비드’가 팬데믹에서 벗어날 탈출구가 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는 14일(현지시각)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팍스로비드가 코로나19 고위험군 입원ㆍ사망 확률을 89%까지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 치료법이 허가를 받는다면 팬데믹에서 벗어나는 길에 중대한 진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환영했다.
화이자는 비만, 고령, 기저질환 같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인자를 가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팍스로비드 3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증상 발현 후 3일 이내에 이 약을 복용하면 입원ㆍ사망 확률이 89%, 5일 이내에 복용하면 88% 낮아졌다.
건강한 청년 또는 위험인자가 있지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사람 등 ‘표준위험군’ 대상 임상시험에서는 팍스로비드가 입원ㆍ사망 확률을 70% 줄이는 것으로 나왔다.
임상시험자 중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은 대부분 '델타 변이'로 확인됐지만, 화이자 측은 팍스로비드가 ‘오미크론 변이'에도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팍스로비드가 오미크론 변이의 ‘프로테아제(단백질 분해효소)’도 다른 변이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차단했다는 것이다.
알버트 불라 화이자 회장은 “(팍스로비드) 허가가 나거나 승인이 된다면 이 잠재적인 치료약은 팬데믹을 진압하는 데 있어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최윤호 기자
uknow200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