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를 하며 소량으로 즐기는 반주(飯酒)는 건강에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조금 마시는 술도 암을 유발하는 등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평균 음주량뿐만 아니라 음주 빈도가 소화기암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소화기암은 식도, 위, 대장, 간, 담도, 췌장 등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수검자 중 암 진단 이력이 없는 만 40세 이상의 성인 약 1100만 명을 대상으로, 음주 패턴에 따른 소화기암 발생을 2017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연구대상자의 주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비음주군 ▲경도 음주군(0-104g/주) ▲중등도 음주군(105-209g/주) ▲과음군(≥210g/주)으로 구분하고, 주당 음주 횟수(음주 빈도) 및 1회 음주량 등 음주 패턴에 따른 소화기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소화기암 발생은 주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늘어 과음군의 소화기암 발생 위험은 비음주군보다 1.28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주 패턴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도 소화기암 발생은 음주 빈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매일 음주하는 경우 전혀 음주하지 않는 경우(대조군) 대비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1.39배로 높았다.
반면에 1회 음주 시 5~7잔 건강한 성인이 한 시간에 해독할 수 있는 순수 알코올 양 8g을 기준으로 한 표준 잔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 대조군 대비 소화기암 발생이 1.15배까지 늘어났으나, 1회 음주량이 그 이상으로 늘어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소화기암 발생 위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음주 빈도가 1회 음주량보다 소화기암 발생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소화기암의 발생 부위별로 구분해 관찰했을 때에도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