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를 남용하면 당뇨병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서울대병원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발표돼 항생제를 많이 쓰는 국내 분위기에 경종을 울렸다. / 게티이미지뱅크
항생제를 남용하면 당뇨병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서울대병원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발표돼 항생제를 많이 쓰는 국내 분위기에 경종을 울렸다. / 게티이미지뱅크

항생제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항생제를 오래 쓰거나 여러 가지를 쓰면 그 위험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박선재·박영준 연구원)은 2002~2015년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40세 이상 20만1459명의 항생제 사용과 당뇨병 상관관계를 추적 조사했다. 2002~2005년 항생제 사용 여부가 2006~2015년 당뇨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세계적 학술지 'Scientific Reports'가 항생제 남용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서울대병원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세계적 학술지 'Scientific Reports'가 항생제 남용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서울대병원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연구에서 항생제를 90일 이상 사용한 그룹은 미사용 그룹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16% 높았다. 또 항생제를 5가지 이상 사용한 경우 한 종류만 사용한 그룹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14% 높았다. 

항생제는 우리 몸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파괴하기 때문에 너무 많이 쓰면 다양한 질병이 생길 수 있다는 경고는 계속되어 왔다. 최근엔 대장암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도 있었다. 우리 몸에는 수많은 장내 미생물군이 균형을 이뤄서 생태계(장내 미생물 균총)를 유지하고 있는데, 항생제가 미생물을 죽이면 이 생태계가 무너진다. 연구팀은 “미생물 균총이 몸에 들어온 음식과 식이섬유를 발효시켜 ‘짧은 사슬 지방산’을 만든다. 이 지방산의 균형이 깨지면 내당능 장애가 생기고 인슐린 저항성이 올라가 결국 당뇨병이 된다”고 설명했다.

박상민 교수는 “대규모 아시아계 성인을 대상으로 항생제와 당뇨병 관계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며 “국내의 무분별한 항생제 처방에 경종을 울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에 영향을 주는 음주·흡연 등의 요인을 걸러내고 정교하게 분석했다.

지난해 한국의 인구 1000명당 1일 항생제 사용량은 26.1DID(하루 1000명당 의약품 사용량)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그리스, 터키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