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World Pneumonia Day)'. 세계적으로 아동의 폐렴 예방을 추진하는 단체들이 힘을 모아 제정한 날이다. '아동폐렴글로벌연합(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이 중심이 되어 2009년 폐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적인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행사를 시작했다. 아동폐렴글로벌연합은 '폐렴멈춤행동(Stop Pneumonia Initiative)' 등 전세계 140개 이상 비정부기관(NGO), 학교, 정부 등이 모여 설립된 단체다.
국내에서는 폐렴의 심각성을 잊고 살아가지만 여전히 중요한 사망원인이고, 특히 노년층에는 치명적인 질병이어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도 일종의 폐렴으로 보는 것이 맞다.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 기침과 가래·호흡곤란 등 폐 증상은 물론 구토와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 두통·근육통·관절통·발열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구별하기 어렵고,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심한 폐렴은 자칫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지난해 사망 원인 통계를 보면 폐렴은 암과 심장질환 다음으로 치명적이다. 인구 10만 명당 43.3명이 폐렴으로 사망했다. 암은 160.1명, 심장질환은 64명이다.
질병관리청은 폐렴구균 백신은 물론 독감 백신 접종 역시 폐렴 위험을 낮춘다고 설명한다. 폐렴은 노인 환자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지만, 적절한 생활습관과 예방접종 등을 통해 노년층 폐렴을 막을 수 있다는 것.
흡연은 폐렴의 위험을 높인다. 질병관리청은 "흡연자는 금연하고, 적절한 영양과 운동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며 “자주 손을 씻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라고 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