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후 일상으로 복귀한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가족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피로였다.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전미선 교수팀이 2018년 5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암 치료가 종료된 암 생존자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개별 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결과다. 조사 대상자의 약 80%는 여성 유방암 환자로, 대부분 50세 미만 젊은 환자였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14~2018년 암 평균 5년생존율은 70.3%다. 암 종류 별로 차이가 있지만, 암 환자 10명 중 7명은 완치 판정을 받는다. 하지만 가족과의 갈등, 실직, 치료 후 후유증, 합병증, 재발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 암 환자에 대한 편견 등 심리적 문제는 다양하다.
연구팀은 암 생존자들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단어와 건강, 스트레스, 통증, 피로, 불면, 불안, 우울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단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수치화 한 뒤 단어의 빈도 및 연관성을 계산했다.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맵을 작성해 단어들 간 연관성과 중요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가장 자주 언급되거나 힘듦과 연관 있는 단어는 '스트레스'와 '피로'였고, 두 단어는 다른 언어와의 상관성도 아주 높았다. 또 스트레스와 피로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단어는 남편, 자녀 등 가족과 관련된 것이었다.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 중에는 '내가 없으면 우리 아이들은 누가 돌보지?' '아무도 없는 곳에서 혼자 쉬고 싶다' '가족들은 내가 다 나은 줄 알고 집안일을 도와주지 않아 서운할 때가 있다' 등이 많았다. 암 경험자들은 일상에서 엄마, 아내, 며느리 등의 역할 수행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가족 간 대화나 지지가 없는 위기 가족에서는 더 큰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장을 맡고 있는 전미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진단 후 정신적·육체적으로 길고 힘든 치료과정에서 가장 힘이 되고, 도움이 될 것 같은 가족이 오히려 다양한 갈등, 부담감, 걱정의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암 환자에게 가족의 따뜻한 응원과 도움이 필요하며,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족 참여 교육 및 프로그램 활성화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저널 'BMC cancer(IF 4.4)' 6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