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 성장을 억제하고 체내 면역 활성화를 돕는 물질을 발견했다.
영남대학교 의생명공학과 진준오 교수팀은 최근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FimH' 물질을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FimH은 대장균의 부착 단백질로 체내 면역 활성화를 돕고, 암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장균 편모에서 FimH를 분리하고, 이 단백질이 쥐 체내와 사람의 혈액 속 면역 세포에서 면역 활성 기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 물질을 암 항원과 혼합 투여했더니, 흑색종과 상피세포암종의 성장을 억제했다. 또 최근 개발된 면역 관문 억제제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켜 암 치료 효율을 높였다.
FimH의 경우 면역세포 활성 능력은 뛰어난 반면 체내 독성 유발은 낮다. 기존 저독성 관문 수용체 자극 물질에 비해 물에 잘 녹는 친수성 물질이어서 여러 백신과 혼합 투여가 가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진준오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신규 면역 증강제인 FimH를 면역 관문 억제제인 항-PD-L1 항체와 혼합 투여했을 때 항암 효과가 크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면역 관문 억제제의 효율 향상용 의약품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iton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보람 기자
ram488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