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과 싸우는 면역세포로 알려진 T세포가 코로나 19(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치료와 관련해 주목받고 있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접종하고 있는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코로나19 집단 면역이 불가능하다는 회의론 속에서 T세포가 희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T세포는 암세포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이는 기능을 가진 면역 세포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T세포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한 후 기억 T세포로 남는다.
KAIST(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와 고려의대 내과 노지윤 교수, 충북의대 내과 정혜원 교수, 국제백신연구소(IVI) 제롬 김 사무총장은 ‘네이처 리뷰 면역학(nature reviews immunology)’ 온라인판에 T세포 면역에 초점을 맞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기고문(T cell-oriented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 COVID-19 pandemic)을 게재했다. ‘네이처 리뷰 면역학’은 면역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다.
이 기고문의 핵심은 ‘백신 접종으로 형성된 T세포 면역은 높은 수준으로 장기간 유지돼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중증화를 예방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개인차가 있지만 절반 이상은 백신 접종 6개월 후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중화 항체 수준이 감소하며, 특히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중화 항체 활성을 상당히 감소된다”며 “하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기억하는 T세포는 비교적 중화항체보다 오랜 시간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회복된 사람을 10개월 간 추적 관찰했더니 질병 증중도와 상관없이 T세포 면역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한 사스 바이러스 감염 후 형성된 T세포 면역은 17년 동안 유지됐다. T세포 면역은 델타나 감마 변이에도 그 효과가 유지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를 독감이나 일반 감기와 유사한, 통제 가능한 질병으로 만들어 공중 보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실질적인 목표여야 한다”며 이미 효과가 입증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이어가면서 한편으로는 T세포 면역을 유도하는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중화 항체에 이어 T세포가 2차적으로 코로나19를 방어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T세포 면역에 초점을 맞춘 정교한 백신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