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쇠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이 아니라 신체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노쇠는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데, 노쇠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노년층의 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장일영 교수팀은 강원도 평창군 보건의료원과 함께 평균 나이 77세의 노인 380여명을 대상으로 노년층에 특화된 6개월 노쇠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했다.
의료진과 함께 꾸준히 노쇠예방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비교했는데, 30개월 동안 요양병원에 가지않고 생존한 비율이 각각 87%와 64.9%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노쇠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의 경우, 요양병원에 가지 않고 생존한 기간이 평균 약 28.5개월인 반면, 참여하지 않은 환자들은 약 23.3개월로 거의 반년 정도 차이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에게 있어 요양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것은 삶의 질과 만족도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노인맞춤 그룹운동, 영양 관리, 우울증 관리, 복용 약 조절, 집 내부 위험 요인 제거 등으로 노인특화 노쇠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그동안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쇠예방 프로그램의 단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장기적인 생존율과 건강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장 교수 연구팀은 평창에 거주하는 노인 383명 중 노쇠예방 프로그램을 받은 노인 187명과 그렇지 않은 노인 196명을 대상으로 6개월 노쇠예방 프로그램의 30개월 장기효과를 분석했다.
프로그램에는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 균형운동이 섞인 60분 운동을 주2회 실시했고, 영양분이 고루 섞인 영양관리, 미국정신보건연구원이 개발한 우울증 관리,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복용 관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장일영 교수는 "의료진과 함께 전문적으로 노쇠를 예방하기 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외부환경 등을 세밀하게 종합적으로 관리하면 장기적으로 노년층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가 훨씬 좋아질 수 있다'며 "앞으로 지역사회와 협력해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노인의학 분야에서 저명한 영국 노인의학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나이와 노화(Age and Ageing)'에 최근 게재됐다.
▶직접 챙기는 노쇠예방 건강 관리법 5가지
1. 매일 오래 걷는 운동만 하는 것보다 빠르게 걷기, 스쿼트, 한발로 오래 서있기 등을 포함한 근력, 유산소, 균형운동을 주 3회 이상 병행한다.
2. 콩, 시금치, 두부 등을 통해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하지 않게 생선, 달걀, 육류, 오징어 등 동물성 단백질도 소량씩 자주 섭취한다.
3. 우울증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낮에 산책을 하고 다양한 취미활동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4. 고혈압, 당뇨 등 여러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중복하여 복용하고 있는 약은 없는지, 더이상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약은 없는지 의사와 함께 체크한다.
5. 실내 낙상사고 예방을 위해 화장실에 미끄럼 방지용 매트, 슬리퍼를 비치하고, 발에 걸리기 쉬운 바닥의 긴 전선이나 이불, 카펫 등은 걷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실내는 항상 너무 어둡지 않도록 밝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