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을 만든 기술로 암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일 영국 인디펜던트 등 언론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의 ‘루드빅 암연구소’ 연구진은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 백신 기술을 이용해 암 치료 백신을 개발했으며, 동물 실험에서 효능을 입증했다”고 3일 국제학술지 ‘암 면역치료(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발표했다.

코로나 백신을 만든 기술로 암 면역치료 백신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 백신을 만든 기술로 암 면역치료 백신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게티이미지뱅크

백신이 인체 면역체계를 작동시켜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우게 한 것처럼 암세포도 공격하게 유도한다는 게 이번 연구의 핵심이다. 루드빅 암연구소와 제너 연구소의 공동 연구팀은 암에 걸린 쥐에게 백신을 투여하자 36일만에 암세포 크기가 82%나 줄었다고 밝혔다. 암 백신이 세포독성(CD8+T)세포의 수치를 증가시켜 엄 크기를 더 줄이고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켰다는 것이다.

암 면역치료는 환자 자신의 세포독성(CD8+) T세포로 암세포를 죽이게 하는 치료다. 하지만 일부환자는 T세포가 워낙 적어 면역치료가 잘 듣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옥스퍼드대 연구진은 코로나 백신 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국제학술지 '암 면역치료'에 실린 옥스퍼드대 연구팀의 암 백신 개발 관련 논문.
국제학술지 '암 면역치료'에 실린 옥스퍼드대 연구팀의 암 백신 개발 관련 논문.

이번에 시험한 암치료 백신은 암세포를 구체적으로 겨냥하도록 암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마지(MAGE, Melanoma Antigen Gene)형 단백질을 찾도록 설계됐다. 이 단백질은 여러 암세포에 공통으로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암이 아니라 폐암, 대장암, 유방암, 방광암 등 다양한 암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기대했다.

옥스퍼드대의 베누아 반 덴 아인데 교수는 “이전 연구에서 마지 단백질이 암세포 표면에서 면역세포들을 유인하는 붉은 깃발처럼 작용해 종양을 파괴하는 면역세포를 유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마지 단백질은 정상 조직에 없기 때문에 백신이 유도한 면역세포들이 건강한 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의 위험도 줄어든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올해 말 인체 대상 임상시험도 준비하고 있다. 초기 임상시험은 비소세포 폐암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