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이 생겼다는 주장과 관련, 전문가들이 백혈병과 백신의 인과관계는 없다는 검토 결과를 발표했다.
김진석 대한혈액학회 학술이사는 2일 질병관리청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수일~수개월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백신 접종 후 발생했다는 백혈병은 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은 일부 유전적 소인과 벤젠과 같은 발암물질, 항암제와 같은 독성물질들로 알려졌으나,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김진석 학술이사는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명 정도의 백혈병 환자가 진단되고 있고, 급성 골수성 백혈병만 매일 수명의 환자가 새로 진단된다"고 말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는 환자는 하루에 10여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학술이사는 "전 국민이 백신접종을 하는 현재 상황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진단되었다고 오인을 할 소지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이 발생한 사례는 해외에서도 보고된 바가 없다. 식약처의 해외조사에서도 백혈병과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오정원 식약처 의약품안전평가과장은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도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발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진석 학술이사는 "미국 과학학회에서 전문가들이 모여서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서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여러 가지 백신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오히려 미국에서 시행한 역학연구에서 소아의 뇌수막염에 대한 예방접종 이후에 소아 백혈병의 빈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되는 연구가 있었다”고 전했다.
김진석 학술이사는 "백신접종 후 발생하는 대부분의 부작용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다”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할 때 백혈병과 같은 암에 대해 걱정은 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