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 치료에 수술 중 방사선 치료(Intraoperative Radiotherapy: IORT)를 적용한 국내 첫 사례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18일 뇌종양센터 박현호, 유지환(이상 신경외과), 조연아(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이 5월24일 40대 남성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IORT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이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IORT 치료를 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이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IORT 치료를 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박현호 교수가 수술로 종양을 제거한 후 유지환, 조연아 교수가 곧바로IORT용 인트라빔 장비로 수술 부위에 직접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를 했다. 현재까지 환자는 특이 소견없이 양호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통 방사선 치료는 수술 3~4주 뒤에 시행한다. 수술 부위가 안정된 뒤에 하는 게 낫다는 판단 때문이다. 치료 부위에 인접한 다른 신체 부위로 인해 충분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없는 한계도 지닌다. 이에 비해 IORT는 수술과 동시에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므로 치료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수술 부위 근처에 직접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악성도가 높고 예후가 불량한 교모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방암 등 IORT를 널리 사용하는 다른 암의 경우 치료 기간이 1~2주가량 단축됐으며, 합병증이나 부작용 발병률은 기존 치료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았다.

유지환 교수는 "IORT 전용으로 개발된 인트라빔이 수술대 앞까지 들어올 수 있어 환자의 방사선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교모세포종은 악성도가 높고 빨리 재발하기 때문에 치료 기간 단축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연아 교수는 "IORT는 수술 중에 병변 부위를 직접 확인하면서 치료할 수 있어 정확한 방사선 조사가 가능하다. 일반 방사선 치료는 인접 장기로의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 때문에 선량을 높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IORT는 종양 근처에 고선량을 주면서 주변 조직으로의 선량은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014년 IORT 장비를 도입해 유방암에 처음 시행한 후 2019년 500례를 달성했으며 대장암, 췌장암에 이어 교모세포종 치료로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