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을 일삼던 아버지와 아들이 있었습니다. 결국 아들은 집을 나갔고 아버지는 개인 잡지에 이런 광고를 실었습니다.

"파코야, 화요일 정오에 몬테나호텔 앞에서 만나자. 아빠는 너를 다 용서했다." 그러자 화요일 12시에 파코라는 이름을 가진 800명이나 되는 청년이 모여 들었고 그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민간 기병대가 투입됐을 정도였답니다.(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소설 '세상의 수도' 중)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코라는 이름은 프란체스코라는 이름의 애칭으로 스페인에서 흔한 이름이기도 하지만, 용서를 받고 싶어하는 가족이 얼마나 많은지도 느끼게 하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가족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받는 대상입니다. 함부로 "용서해 주어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치명적 상처를 가족에게 받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용서는 당한 사람만 해 줄 수 있고 결정할 수 있는 영역이란 생각이 듭니다. 물론 상처를 준 쪽이 "용서를 구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그 다음은 기다리는거죠.

긴 여행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겁니다. 때론 "가족이니 용서해주어라, 네가 다 이해해 주지 않으면 어쩌겠니?"라는 말이 더 큰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설사 '용서'는 자신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라고 해도 받고 싶지 않은 선물일 수 있으니까요.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