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내성으로 인해 암 약물치료 효과가 떨어져 치료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는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일차섬모 때문이다. 일차섬모가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암세포가 생기는 이유가 밝혀졌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암세포가 생기는 이유가 밝혀졌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암물질연구센터 이경호 박사팀은 세포 내 신호전달(윈트) 자극이 망막세포에서 일차섬모의 생성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항암제 내성 세포에서 일차섬모 형성에도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윈트 자극은 중심체 주변 물질들의 재배치를 유도해 비정상적인 일차섬모를 형성한다"면서 "이는 기존 암세포에 항암제 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발암과 항암제 내성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세포내 일차섬모 형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이경호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효율적 항암제 내성 치료뿐만 아니라 섬모병증의 여러 유전질환인 불임, 다지증, 다낭신, 망막변성증, 내장역위증, 지방조직의 비만, 소뇌저형성증, 간섬유증, 연골형성저하증 등 관련 질환 등의 치료제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차섬모란?>

일차섬모는 세포내 신호전달 구조로써 세포 내 안테나로 불린다. 일차섬모는 인체 거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며 세포주기가 활발할 때 분해돼 있다가, 세포가 휴식상태일 때 형성된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