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이후 호르몬 영향 등으로 여성들의 경우 대사증후군이 많이 생긴다. 이 경우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만성 염증의 원인이 되는 만큼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즉,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면 유방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같은 이론을 입증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전소현 교수와 강북삼성병원 최인영 교수.(왼쪽부터) /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전소현 교수와 강북삼성병원 최인영 교수.(왼쪽부터) /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국제진료센터 전소현 교수,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 최인영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Cancers(암)'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대사증후군이 있다고 걱정만 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처하면 유방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과 2010년 사이, 2011년과 2012년 사이 각각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74세 이하 폐경 여성 93만 55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몸 상태의 변화에 맞춰 △정상 유지 그룹 △대사증후군 발병 그룹 △대사증후군에서 정상으로 전환된 그룹 △대사증후군이 지속된 그룹 등 4그룹으로 나눴다. 전 기간 정상을 유지했던 그룹을 기준으로 유방암 발병 위험도를 비교한 결과, 대사증후군 유지 그룹이 가장 높았다.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면 유방암 위험도 낮출 수 있다는 국내 코호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면 유방암 위험도 낮출 수 있다는 국내 코호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대사증후군 유지 그룹의 경우 정상 유지 그룹에 비해 유방암 발병 위험이 18%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대사증후군 자체가 유방암 발병 위험인자라는 게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이번 연구 특징은 대사증후군 개선에 따라 유방암 발병 위험도가 변했다는 점이다. 대사증후군의 변화에 따라 유방암 발병 위험도를 평가한 것은 처음이다.

대사증후군을 잘 관리하면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Cancers' 최근호.
대사증후군을 잘 관리하면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Cancers' 최근호.

연구팀에 따르면 처음엔 정상이었더라도 대사증후군으로 발병한 그룹의 경우 계속 정상인 그룹에 비해 유방암 발병 위험이 11% 높았다. 이는 대사증후군이 생기면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이 특히 주목한 부분은 대사증후군에 있다가 정상으로 되돌아온 그룹이다. 지속적으로 대사증후군이 있는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18% 유방암이 높았지만, 대사증후군이 개선된 그룹은 유방암 발병위험이 5%만 높았다. 대사증후군 지속 그룹과 비교하면 상당한 개선효과를 보인 셈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사증후군의 세부 구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허리둘레(85cm 이상), 공복혈당(100mg/dL 이상), 혈압(수축기 130mmHg 이상, 이완기 85 mmHg 이하), 중성지방(150mg/dL), HDL(50mg/dL 미만) 등 각 항목마다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각각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대사증후군 요인이 늘어날 때마다 발병 위험이 함께 상승해 5개 모두 정상 범위 밖인 경우 43%까지 위험도가 치솟았다. 반대로 이러한 위험 요인이 정상 수치 범위로 전환되었을 때는 유방암 발병 위험이 대사증후군의 요인이 유지된 그룹 보다 낮아졌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유방암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면서 "모든 항목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어렵더라도, 일부라도 바꾸기 위해 노력하면 유방암 위험도 그만큼 줄일 수 있을 것"고 결론지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