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 치료제 '제줄라(니라파립)'가 추가 종양 감축술을 받고 가시적 잔존 질환이 있는 난소암 고위험군 환자에서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률을 59%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23일 “PARP억제제 제줄라의 PRIMA 임상 사후분석을 통해 재발 위험도가 높은 난소암 환자에서 유지요법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제줄라는 BRCA 변이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최초의 치료제로, PARP 억제제 중 유일하게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다.


이번 PRIMA 임상 사후분석 결과는 지난 19일 개막해 25일까지 열리는 미국부인종양학회(SGO)에서 발표됐다. PRIMA 임상 연구는 새로 난소암 진단을 받은 성인 환자 733명을 대상으로 제줄라의 효능을 평가한 이중맹검 무작위 3상 임상 연구다.
 

이번에 공개된 PRIMA 임상 사후분석은 난소암의 재발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 수술 시점과 잔존질환 여부에 따라 환자 케이스를 세부적으로 나눠 제줄라 유효성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제줄라는 추가 종양 감축술(IDS)을 받고 가시적 잔존 질환(VRD)이 있는 난소암 환자에서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을 59%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제줄라는 또 초기 종양 감축술(PDS)을 받고 가시적 잔존 질환이 있는 난소암 환자에서는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을 42% 감소시켰다. 아울러 추가 종양 감축술을 받고 가시적 잔존 질환이 없는 환자에서는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을 35% 감소시켰다.

다케다제약은 "초기 종양 감축술 또는 추가 종양 감축술 이후 잔존 질환에 대한 효과에서도 하위그룹간 유사한 결과를 보인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김재원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난소암은 증상이 없어 대부분 3~4기에 발견되는데다 80% 이상 환자에서 재발을 경험하기 때문에 1차 치료부터 유지요법 등 환자의 삶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고위험군 환자라면 더욱 혁신적인 치료 옵션의 선택이 중요하다”면서 “제줄라는 이미 1차 및 2차 이상 유지요법으로 모든 환자에서 바이오마커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교수는 또 "제줄라가 4차 이상 치료요법으로도 승인 받은 PARP 억제제인 만큼 이번 사후분석 결과를 통해 재발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난소암 환자에서도 혁신적인 유지요법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제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제줄라는 최초로 BRCA 변이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PARP 억제제로, 2017년 3월 미국 FDA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는 2019년 3월 첫 허가를 받았다. 현재 1차부터 4차 이상까지 난소암 치료의 모든 단계에서 허가를 받았으며, 1일 1회 복용으로 복약 편의성을 개선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