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국내 온라인플랫폼 3사가 국가 행정정보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스템과도 연동, 각사 알림을 통해 백신접종 일시, 장소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 앱을 통해 행정정보를 보는 법. / 행정안전부
네이버 앱을 통해 행정정보를 보는 법. / 행정안전부

10일 네이버, 카카오, 토스 3사는 행정안전부와 이 같은 내용의 '국민비서 서비스 개발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비서 서비스’를 신청하고 이 플랫폼을 3사 중 한 곳으로 설정하면 해당 앱을 통해 알림을 받아볼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3월 중 교통·교육·건강 3개 분야에 대한 7종의 알림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교통 범칙금 알림 △교통 과태료 알림 △운전면허 갱신 알림 △통학버스 운전자 교육 알림 △고령 운전자 교육 알림 △국가장학금 신청 안내 △일반 건강검진 및 암 건강검진일 알림이다.

정부는 연말까지 약 30종의 알림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알림이 포함된다. 

네이버는 해당 내용을 전자문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네이버페이 간편 송금과도 연동해 납부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토스도 금융플랫폼 특성을 살려 범칙금·과태료 납부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카카오는 카카오인증서를 통해 정부24 로그인 없이 질병관리청 백신접종 예약 시스템에 로그인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코로나19 백신 예약 알림처럼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서비스에는 비용을 면제하는 등 회사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겠다"며 "코로나19 종식에 카카오 플랫폼이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도 "네이버는 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이어가며 알림의 종류를 확대하고, 사용자가 생활 속에서 언제든지 '나'와 관련된 행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국민 비서'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