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월에서 하지 및 요추 통증 유의하게 호전, 24개월에는 수술과 비수술 치료 효과 차이 없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 서울대병원 제공
 1개월에서 하지 및 요추 통증 유의하게 호전, 24개월에는 수술과 비수술 치료 효과 차이 없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 서울대병원 제공

추간판 탈출증은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불리는 잘 알려진 질병이다. 몸의 중추인 허리에 고통과 부담이 생기기 때문에 삶의 질에 절대적 영향을 준다. 주변에서 수술을 받을 것인지 그냥 비수술적 치료를 받을 것인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최근 신경외과 전문의팀에서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의 효과를 비교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끈다. 요약하면, 수술적 치료를 한 경우 한달 이내 통증 호전효과를 보였지만, 장기적으로는 비수술적 치료 효과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다. 

정천기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정천기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천기 교수팀(김기정·박윤관·김치헌·최윤희 교수)은 수술적 치료가 권유돼 상급의료기관을 찾은 추간판 탈출증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수술과 비수술 집단을 나눠 추적 관찰·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연구에 공모·채택돼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호 게재가 확정됐다.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돌출돼 요통 및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요통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 요통 및 다리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증상이 지속된 기간, 통증의 강도, 신경학적 장애 등을 고려해 수술과 비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수술적 치료는 6주 동안 비수술적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는 참기 힘든 통증이 있거나, 하지 마비가 초래되어 호전되지 않거나 진행되는 경우 등에 시행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운동, 약물, 물리치료 등이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치료 방법에 따라 △수술 코호트 57명 △비수술 코호트 71명으로 나눈 뒤 통증과 삶의 질 관점에서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해 한 달 내로 빠르게 요통과 하지 통증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2년 정도 경과를 관찰하면 비수술적 치료 이후에도 증상은 점진적으로 호전돼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효과의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수술과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삶의 질은 비슷한 정도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과 삶의 질이 호전될 수 있지만 통증이 더디게 호전되면서 경제 활동 및 일상생활이 제한받는 점도 치료 방법 결정 시 고려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천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수술과 비수술적 치료의 실제 결과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된다"며 "수술을 추천받은 환자가 비수술적 치료를 선호할 경우 이번 연구를 참고할 수 있지만, 마비가 동반되거나 심한 추간판 탈출증 등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