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간경화로 진행되는 과정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치료제 개발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아산병원은 내분비내과 고은희, 이기업 교수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있는 쥐의 간세포에서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SMS1)'의 발현이 증가했고, 이 때문에 간 조직에 염증과 섬유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알코올 섭취와 관계없이 간에 지방이 쌓이고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부 환자는 간경화·간암 등으로 진행해 악화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는 생체막을 구성해 필수 지방산을 공급하는 지질이다. 연구팀은 스페인 바르셀로나 국립연구소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서 간암으로 발전해 간이식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간 조직을 분석한 결과 모든 환자에게서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 발현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진행을 막을 단서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를 결정하는 섬유화 진행에 관련된 요인이 밝혀진 데 따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고은희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진행하는 과정과 원리가 밝혀졌기 때문에 앞으로 간경화로의 이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위장병학회가 발간하는 소화기 분야 국제 학술지 ‘거트’(Gut) 온라인판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