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공 간(肝) 칩을 활용해 유방암에서 시작된 암이 어떻게 간까지 전이되는지를 밝혀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 연구팀은 미세 유체 칩 위에 사람의 간을 모방한 '인공 간 칩'(Liver-on-a-Chip)을 이용, 암 전이 과정에서 나노 소포체의 역할을 밝혀냈다고 최근 밝혔다. 나노 소포체는 세포가 배출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물질이다.

이번 연구가 실린 학술지 ‘ACS나노’ 표지 사진. 나노소포체(큰 파란색 구)가 간 혈관에 잘 달라붙는 모습을 표현했다. /유니스트(UNIST) 제공
이번 연구가 실린 학술지 ‘ACS나노’ 표지 사진. 나노소포체(큰 파란색 구)가 간 혈관에 잘 달라붙는 모습을 표현했다. /유니스트(UNIST) 제공

연구팀은 간 세포를 이용해 인공 간 칩을 만들고 암 세포를 배양했다. 관찰 결과, 유방암에서 만들어진 나노소포체는 간의 혈관 벽을 더 끈끈하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암세포는 혈관벽에 더 강하게 달라붙을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대조군 실험을 통해, 간 전이가 발생한 유방암 환자는 간 전이가 안된 유방암 환자, 건강한 사람보다 나노소포체의 종양성장인자 발현양이 많은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유방암 세포를 이용했지만 췌장암, 대장암 등 다른 종류의 암세포에 대해서도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화학회지(ACS)가 발간하는 ‘ACS 나노(ACS Nano)’에 지난 24일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