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암에 걸리면 생기는 목소리의 변화 자료를 활용, AI로 후두암 발병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 게티이미지뱅크
후두암에 걸리면 생기는 목소리의 변화 자료를 활용, AI로 후두암 발병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목소리만으로 후두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김현범, 임선, 주영훈 교수팀과 포항공대 전주형 학생 및 이승철 교수팀은 자동 음성신호 분석이 후두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음성분석 프로그램으로 두 그룹의 특징을 추출해 정확성, 감도, 특이성 측면에서 평가했다. 

그 결과 AI가 음성 분석을 통해 건강한 사람과 후두암에 걸린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분야에서 기존 AI 연구가 영상 자료 판독에 치중돼 있었다면, 음성신호 기반으로 AI를 처음 활용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학계 주목을 받고 있다.

후두암은 두경부(머리와 목)에서 중요 기관 중 하나인 ‘후두’에 생기는 악성 종양. 국내에서 매년 새로 발생하는 전체 암의 1.1%를 차지하고 전체 두경부암 환자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암이다. 

AI로 후두암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실렸다.
AI로 후두암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실렸다.

후두암은 해마다 증가하는 발병률에도 불구하고 조기 진단이 어려워 치료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기 진단이 치료의 관건인데 음성 변화가 후두암의 초기 징후 중 하나라는 점에 착안한 연구진이 AI로 음성변화를 분석해 후두암 발병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연구진은 “사람의 청력으로는 단시간 안에 음성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운데, AI를 통해 후두암 발병 유무 진단 가능성을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해 불필요한 접촉이 꺼려짐에 따라 이번 연구와 같은 음성신호에 기반한 디지털 헬스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