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의료 중단, 65세 미만 중년층에서 많아
성인 암 사망자 100명 중 26명은 무의미한 연명의료 치료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21일 ‘연명의료중단 현황 파악 및 한국형 의사-환자 공유의사결정 모델 탐색’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1년간의 암 사망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성인 암 사망자는 총 5만4635명이었다. 이중 연명의료 중단 결정 암 사망자는 1만4438명으로 26.4%를 차지했다. 연명의료 중단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가족 진술, 가족전원 합의 중 하나로 이뤄졌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세 미만 암사망자 1만6143명 중 33.9%에 해당하는 5470명이, 65세 이상인 암사망자 3만8492명 중에서는 8968명(23.3%)이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했다.
환자가 직접 연명의료 유보 및 중단을 결정한 경우가 7078명으로 가족에 의해 결정된 경우(6407명)보다 더 많았다. 특히 40~50대의 자기결정 의사가 가장 뚜렷했다. 자기결정 암사망자들은 호스피스 병동 이용빈도가 가족 작성 암사망자들보다 더 높았다.
연구진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의 연명의료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해 암환자뿐 아니라 비암환자도 포함한 연명의료 중단 결정 현황도 확인했다. 2018년 2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은 1만791명으로 31.9%였다. 나머지는 가족진술서 혹은 가족전원합의서를 작성한 경우로,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 가족이 작성한 서류에 의한 경우가 훨씬 더 많았다.
암환자와 비암환자로 구분해 살펴봤더니,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한 비율이 암환자는 48.4%로 절반 정도를 차지했으나 비암환자에서는 14.1%에 불과했다. 이는 암이 아닌 경우 환자가 직접 의사를 표명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고서는 추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