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코골이라고 외면 말아야... 수면무호흡증, 면역체계에 악영향
잠자는 동안 숨이 반복적으로 막히는 수면무호흡증이 면역체계에까지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과학적으로 규명됐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박도양 교수와 연세대 의대 이비인후과 김창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과 유사한 ‘간헐적 저산소(intermittent hypoxia)’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맞춤형 챔버를 이용해 생쥐 모델을 제작한 뒤, 하루 7시간씩 4주 동안 저산소 자극을 가했다.
그 결과, 면역 조절을 담당하는 T세포는 줄어들고, 염증을 유도하는 Th17 세포와 IL-4, HIF-1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17/Treg 비율의 급격한 증가는 면역 불균형 상태를 보여준다. 이는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암 등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을 뒷받침한다.
숨막힘 자극을 멈춘 뒤 4주간 회복기를 관찰한 결과, 면역세포 불균형이 회복됐다는 사실이다. 이는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면 면역체계 역시 정상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박도양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면무호흡증이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세계 최초의 사례”라며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코골이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 면역질환의 유발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숨길)가 반복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혀 호흡이 10초 이상 멈추는 현상이 1시간에 5회 이상 발생하는 질환이다. 단순 코골이로 여길 수 있지만, 수면 중 산소 부족 상태(간헐적 저산소)가 지속되며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 ▷면역기능 저하, 염증성 질환, 암 ▷당뇨병, 우울증, 치매, 주간 졸림 등
수면무호흡증 자가진단 기준
다음 질문(STOP-BANG) 중 3개 이상 해당되면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으로, 병원 수면다원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코를 심하게 곤다 ▷자는 중 숨이 막히거나 멈춘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낮에 졸리거나 쉽게 피로해진다 ▷고혈압을 진단받았거나 치료 중이다 ▷BMI(체질량지수)가 35 이상이다 ▷나이가 50세 이상이다 ▷목둘레가 남성 43cm, 여성 41cm 이상이다 ▷남성이다
정확한 진단 기준: AHI 지수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AHI(Apnea-Hypopnea Index, 무호흡-저호흡 지수) 수치에 따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정상 : 0~4 ▷가벼운 수면 장애 : 5~14 ▷졸림 등 기능 저하 : 15~29 ▷심혈관계 위험 동반 : 30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