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 환자, 혈액암 발생위험 1.49배

2025-06-09     최윤호 기자

급성 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들은 급성 심근경색 병력이 없는 사람보다 혈액암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권성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심장내과 교수와 윤석윤 종양혈액내과 교수팀은 최근 미국심장학회저널(JACC, CardioOncology)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 주제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 발생 위험: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다.

급성 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들은 급성 심근경색 병력이 없는 사람보다 혈액암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막힐 때 발생하는 심근경색증의 발생 메커니즘. / 세브란스병원 '심장병완치설명서'

권성순·윤석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3년부터 2021년 말까지 급성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10만3686명과 연령,성별을 맞춘 10만3686명을 대조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급성 심근경색을 경험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혈액암 발생 위험이 1.49배였고 다양한 혼란 변수들을 보정한 민감도 분석 및 표준화 발생비 분석 결과도 비슷했다.

권성순 교수는 “급성 심근경색과 혈액암은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두 질병 간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 연구를 진행했다”며 “연구 결과와 같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장기 추적할 때 혈액암 발생 가능성을 염두해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석윤 교수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위험인자로 주목받고 있는 ‘클론성 조혈증’은 혈액암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액암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겠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