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 때문에 생긴 탈모, 냉각모자가 해결사 될까
항암치료의 대표적 부작용이 탈모다. 항암 치료 중 머리카락이 빠지는 건 항암제의 특정 성분이 모낭세포나 피부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파클리탁셀 등이 탈모를 잘 일으키는 항암제로 알려져 있다. 이 성분은 주로 유방암을 비롯한 여성암 치료에 사용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의 42.3%가 항암치료 후 3년이 지나도 치료 이전의 모발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항암 치료로 인한 탈모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연구에서 냉각모자(쿨링캡)가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안진석 혈액종양내과 교수와 조주희 암교육센터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등은 항암치료로 인한 탈모를 예방하는 데 냉각모자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임상종양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냉각모자는 냉각수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관을 따라 순환하는 방식으로 두피의 열을 내리는 모자다. 연구팀은 냉각모자를 쓴다고 해서 탈모가 완전히 방지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발이 다시 자라날 때 냉각모자를 쓰지 않은 사람보다 모발 상태가 건강할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연구팀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8월 사이 치료받은 유방암 1~3기 환자 139명을 무작위로 냉각모자 그룹(89명), 대조 그룹(50명)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냉각모자 그룹은 항암치료 전 30분 동안 모자를 착용하고, 치료 후 90분 동안 모자를 한 번 더 썼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연구 기간 동안 환자에게는 머리카락을 삭발하지 않도록 했다. 강단비 교수는 "두 그룹의 임상적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해 냉각모자 착용 유무에 따른 지속 탈모와 모발의 양과 굵기, 스트레스를 비교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대조 그룹의 52%는 지속탈모를 경험한 반면 냉각모자 그룹은 13.5%만 지속탈모 증상이 나타났다. 모발 두께 차이도 확연히 나타났다. 치료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을 기준으로, 모발 두께는 대조 그룹에서 7.5μm 줄어든 반면 냉각모자 그룹은 오히려 1.5μm 늘어났다. 연구 시작 당시에는 두 집단 간 모발 두께 차이가 없었지만, 치료 후에는 9.1μm 정도 벌어졌다.
항암치료 종료 6개월 뒤 가발 착용도 냉각모자 그룹에서 크게 줄었다. 탈모를 가리기 위해 가발을 착용한 환자의 비율이 대조 그룹은 32%, 냉각모자 그룹은 17%로 나타났다. 항암치료로 인한 탈모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환자 수도 냉각모자 그룹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안진석 교수는 "냉각모자를 착용하면 모낭 손상이 덜하기 때문에 항암치료 후 머리카락이 다시 날 때 빨리 나고 굵은 모발이 날 확률이 높아진다"며 "탈모는 환자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부분 또한 포함해야 암 치료가 완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냉각모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허가를 받고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들에게 보조적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의료기술 등록 절차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