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수술ㆍ항암치료 병행하면 림프부종 위험 1.5배 이상
유방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을 병행한 환자는 수술만 했을 때보다 림프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1.5배 이상으로 커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이자호 교수와 순천향대병원 천성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6∼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가암등록통계에 등록된 유방암 환자 11만4638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의 림프부종 발생 위험을 5년간 추적 관찰한 후 항암화학요법 실시 여부에 따른 예후를 추가 분석했다.
림프부종은 암 수술이나 항암치료 과정에서 림프절이 손상돼 손과 발이 과도하게 붓는 질환이다. 심할 경우 통증과 경직을 동반하며 신체적 변화가 심리적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아 초기부터 적절한 재활치료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유방암 환자의 38.4%에서 림프부종이 발생했다. 수술만 받은 환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림프부종 발생 위험은 화학항암요법 단독 시 1.58배, 수술·화학항암요법 병행 시 1.54배, 수술·화학항암요법·방사선치료 병행 시 1.51배, 화학항암요법·방사선치료 병행 시 1.13배가 됐다.
여러 치료 방법 중에서 항암화학요법을 포함했을 때 림프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컸고, 이를 수술과 병행하면 더 위험하다는 의미다.
다만 화학항암요법을 단독 시행했을 때 림프부종 위험이 1.58배로 가장 큰 이유는 해당 환자군에서 말기 환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수술 방법에 따라서는 유방을 전체 절제한 환자에게서, 림프절을 유지하지 않고 절제한 환자에게서 림프부종 발생 위험이 컸다.
이자호 교수는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치료 후 림프부종 발생 위험을 확인했다"며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는 림프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팔 둘레 측정, 체중 관리, 적극적인 운동 등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캔서'(BM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