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치료로 염증 생긴 피부, AdP 함유 크림이 완화 효과
방사선 치료로 인한 피부염을 완화하는 데 ‘인체 단백질(AIMP1) 유래 펩타이드 크림’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중앙대병원 의료진이 발표했다.
중앙대학교병원은 피부과 박귀영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최진화 교수와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한혜성 교수 연구팀이 최근 유방암 방사선치료 후 발생하는 방사선 피부염 완화를 위한 새로운 국소 크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한 연구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Supportive Care in Cancer'(IF: 3.0) 2월호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체내 세포 신호조절 단백질인 'AIMP1' 유래 펩타이드(AdP)를 함유한 크림의 '방사선 피부염 완화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팀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환자의 방사선 노출 부위 중 오른쪽에는 AdP(AIMP1 유래 펩타이드) 함유 크림을 바르고, 왼쪽에는 동일한 크림이지만 AdP를 포함하지 않은 크림을 발랐다.
그 결과 AdP 함유 크림을 바른 부위에서 방사선 피부염의 진행이 억제됐으며 피부 변화가 완화됐다. 또한 피부 장벽 보호 효과와 함께 수분 손실 감소 및 색소침착 완화 효과도 확인됐다. 부작용 또한 관찰되지 않아 AdP 함유 크림이 방사선 피부염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것이 입증됐다.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한혜성 교수는 "방사선 피부염은 방사선 노출량에 따라 전체 방사선치료 환자의 50~95%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유방암 환자의 경우 90% 이상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고 설명했다.
중앙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최진화 교수는 "방사선 피부염은 피부 색소침착을 유발해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치료 과정에서도 불편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감염이나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박귀영 교수는 "AIMP1 유래 펩타이드(AdP)가 항염 및 피부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방사선 피부염 완화 및 피부 보호 효과가 입증됐다"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방사선 피부염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피부 보호 방법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