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K세포의 간암세포 공격 방해 단백질 TM4SF5 발견
이정원 서울대 약대 교수 "간암 치료제 개발 활용 가능"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간암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서울대 이정원 약학대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신호 전달·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 Targeted Therapy)’ 최근 호에 실렸다.
이정원 교수 연구팀은 세포막을 관통하는 단백질인 TM4SF5가 과다 발현된 생쥐의 간암 조직을 분석한 결과, 암을 죽이는 자연살해(NK)세포 기능이 저하돼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혈액에 있는 NK세포는 암 세포를 죽이는 세포 독성 기능이 있는데, TM4SF5 과발현 시 암세포를 죽이는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TM4SF5 단백질의 과다 발현과 NK세포의 기능 저하가 간암 세포 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후속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생쥐 간암 조직에서 채취한 NK세포의 여러 면역관문을 분석한 결과, TM4SF5가 과발현하는 세포·조직에서 림프구 활성화 신호전달물질인 SLAMF7의 발현이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SLAMF7은 NK세포를 활성화해 암을 공격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TM4SF5 과발현으로 SLAMF7의 기능이 약해지고, 결국에는 NK세포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TM4SF5RK와 SLAMF7이 결합되면 세포 내 폐기물 처리소인 리소좀으로 보내지는데, 이 과정에서 SLAMF7도 분해된다. 이에 연구팀은 TM4SF5와 SLAMF7의 결합을 막는 화합물을 개발하면 기존 치료제보다 효과가 큰 간암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정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간암 세포와 NK세포의 상호작용과 표적을 새롭게 밝히고, 이로 인한 면역 기능 변화를 알아냈다”며 “효율적인 간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면역관문억제제(면역항암제) 개발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