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암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 합병증ㆍ재발 줄이는 치료법 개발
백혈병 등 혈액암 치료 중 조혈모세포를 이식할 때 나타나는 합병증과 이식거부반응 등의 위험을 크게 줄인 치료법이 발표됐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혈액내과 김정아 교수 연구팀은 이식 후 시클로포스파미드(PT-CY) 기반 조직적합항원(HLA)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 치료에서 항암제인 플루다라빈을 저용량으로 3일간 투여하는 방법으로 생존율은 높이고 재발률은 낮추는 효과가 확인됐다고 26일 밝혔다.
2021년부터 3년간 진행한 임상연구 결과인 ‘저용량 3일 플루다라빈 요법’의 효과는 제66차 미국혈액학회(ASH)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백혈병 등 혈액암 환자의 경우 조혈모세포가 비정상적 암세포로 변질·증식하는데, 이 때골수이식이라 불리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한다. 과거에는 조혈모세포를 기증하는 사람과 이식받는 환자의 조직적합항원이 100% 일치해야 했지만, 지금은 조직적합항원이 50%만 일치하는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이 가능하다.
다만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이식받은 환자의 몸을 외부 물질로 인식해 공격하는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같은 합병증이나 이식거부반응 등의 위험이 높아 장기 생존률은 10%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최근에는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이식 후 시클로포스파미드(PT-CY) 치료법을 적용해 문제를 상당히 개선했으나 여전히 재발률이 높은 등의 한계가 있었다.
김정아 교수 연구팀은 전처치 요법으로 사용되는 플루다라빈의 용량을 조절하면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에 적용했다.
그 결과, 플루다라빈을 저용량으로 3일 투여한 환자군에서 2년간 병이 더 진행되지 않은 상태로 생존한 비율(69.8%)은 같은 약제를 5일간 투여한 환자군(22.2%)보다 크게 상승했다. 또한 재발률 역시 3일 투여 환자군(5%)이 5일 환자군(33%)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팀은 저용량 플루다라빈 요법을 적용한 환자가 기존 요법을 시행한 환자보다 면역기능이 더 빠르게 회복됐기 때문에 이같은 차이가 나타났을 것으로 봤다. 김정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의 재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을 보여줬으며 향후 치료 방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