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원인 4위 뇌졸중...생활 속 증상 체크 방법 '이웃손발시선'

10월29일 세계 뇌졸중의 날

2024-10-29     홍헌표 기자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가 지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뇌졸중은 우리 나라 사망원인 4위 질환으로,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의 도움말로 뇌졸중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뇌졸중은 뇌경색과 뇌출혈로 구분되는데,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혈관이 터져 뇌가 손상되면 뇌출혈이다.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의 90%를 차지한다.

10월 29일은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뇌졸중의 원인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은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아 생존하더라도 반신 마비,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심각한 경우 의식 장애 등 되돌리기 힘든 후유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흡연, 과음 등 나쁜 생활습관이나 그로 인한 만성질환이 뇌졸중의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뇌졸중의 가장 큰 원인은 동맥경화로 인한 뇌경색이다. 동맥경화는 당뇨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으로 혈관 벽 내부에 지방성분과 염증세포가 쌓여 동맥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상태다.

고혈압이 있으면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4~5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비교적 젊은 사람이어도 고혈압이 심하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동맥경화 외에 심방세동(심방근이 동시에 불규칙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판막증(판막이 열리고 닫히는 기능이 원활하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 등 심장질환도 뇌졸중의 심각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동맥경화가 진행된 혈관의 단면./서울아산병원 제공

뇌졸중은 55세 이후 발병률이 높아진다. 열 살이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증가한다. 즉 60세에 비해 70세는 약 2배, 80세는 약 4배 정도 뇌졸중이 많이 발생한다.

젊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동맥경화증은 이미 30대, 40대부터 발견되기 시작한다. 동맥경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된다.

뇌졸중 전조증상은 동맥의 직경이 정상보다 50% 이상 좁아지고 나서야 나타난다. 뇌졸중 증세가 갑자기 발생한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수 년 혹은 수십 년 전부터 원인질환이 심해져서 나타난 결과다. 만약 55세에 뇌졸중이 발병했으면 그 원인은 30대부터 진행된 동맥경화증일 수 있다는 의미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한쪽 팔다리를 갑자기 못쓰거나(반신마비), 감각이 둔해지거나(감각장애), 저리거나 시린 느낌(감각이상), 정신은 명료한데 갑자기 말을 못하거나 남의 말을 이해 못하며(언어장애), 발음이 어둔해지거나(발음장애), 빙빙 돌고(어지럼증) 메스껍거나 토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잘 삼키지 못하거나,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이 갑자기 안보이거나(시력장애), 사물이 똑똑히 보이지 않고 두개로 겹쳐(복시) 보이기도 한다. 뇌출혈 시에는 극심한 두통이 갑자기 발생하며 의식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적인 또는 간헐적인 두통의 경우는 대부분 뇌졸중이 아닌 경우가 많으나 평소의 두통 강도와 양상이 달라졌을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대한뇌졸중학회가 개발한 뇌졸중 조기 감별법 '이웃손발시선'./대한뇌졸중학회 제공

최근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우리나라에 맞게 뇌졸중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는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하여 일반 국민들이 뇌졸중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들을 모아 홍보하고 있다.

▷ ‘이~’ 하고 웃을 수 있는지

두 손을 앞으로 뻗을 수 있는지

발음이 명확한지

시선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는지

4가지는 안면 마비, 편측 마비, 발음 장애, 시력 장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 중 한 가지라도 이상하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뇌졸중 예방 수칙 8가지는 다음과 같다.

- 싱겁고 담백하게 식단 구성하기

- 담배는 미련 없이 끊기

- 술은 최대 두 잔까지만 마시기

-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기

- 주 3회 30분씩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 스트레스는 바로 풀기

-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방치하지 않기

- 만성질환자라면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 주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