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미만 암 환자, 지난 30년간 세계적으로 79.1% 증가

에든버러대 연구팀 204개국 조사... 붉은 고기ㆍ알코올ㆍ흡연ㆍ과체중이 주요인

2023-09-06     이보람 기자

의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100세 시대가 왔다고 하지만, 여전히 가야 할 길은 멀다. 가장 큰 방해 요인 중 하나가 암이다. 세계적인 암 발생과 사망 등 추세 변화를 알 수 있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에든버러대 리쉐 교수팀이 6일 의학저널 'BMJ 종양학'(BMJ Oncology)에 발표한 데이터 분석 결과다. 리쉐 교수팀이 1990~2019204개 국가·지역에서 29개 암에 대해 실시된 '세계 질병 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연구 결과, 지난 30년간 전 세계으로 50세 미만의 연간 암 환자가 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빠르게 증가한 암은 기관지암·전립선암이었고 사망자가 많은 암은 유방암·기관지암·폐암·대장암·위암이었다.

1990년대 이후 50대 미만의 암 발병이 증가했다는 대목이 가장 눈에 띈다. 연구팀은 14~4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암 신규 발병, 사망, 건강 결과(장애 보정수명:DALY), 기여 위험 요인 등을 조사하고, 1990~2019년 사이의 연간 변화율을 추정했다.

그 결과, 201950세 미만의 신규 암 진단 건수는 총 326만 건으로 1990(182만 건)에 비해 79.1% 증가했고, 이런 조기 발병 암으로 인한 사망은 199083만명에서 2019106만명으로 2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방암은 세계 인구 10만명 당 13.7명 발생, 3.5명 사망으로 나타나 가장 많은 조기 발병과 사망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사망자가 많고 건강 큰 영향을 미치는 암은 기관지암·폐암·위암·대장암이었고, 사망률이 가장 가파르게 증가한 암은 신장암과 난소암이었다.

지난 30년간 세계적으로 50대 미만 암 진단 환자가 79.1%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게티이미지뱅크

이 기간 발생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조기 발병 암은 기관지암과 전립선암으로 각각 연간 발병 건수 증가율이 2.28%2.23%를 기록했다. 반면 조기 발병 간암은 매년 2.88%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조기 발병 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10만명 당 273.2), 가장 낮은 곳은 사하라 이남 서부 아프리카(10만명 당 37.4)이었다.

조기 발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곳은 오세아니아(10만 명당 39.1), 동유럽(10만 명당 33.7), 중앙아시아(10만 명당 31.8) 등이었고, 낮은 지역은 고소득 아시아·태평양 지역(10만 명당 16.3)이었다.

연구팀은 지난 30년간 관찰된 추세를 바탕으로 2030년에는 전 세계 조기 발병 암 신규 환자 수와 관련 사망자 수가 각각 31%2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40대 연령층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팀은 50세 미만의 암 발병 요인 중 붉은 고기, 소금이 많고 과일과 우유가 적은 식단, 알코올, 흡연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고 신체활동 부족, 과체중, 고혈당 등도 기여 요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