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피임약, 우울증 위험 높인다

10대부터 복용시, 우울증 위험 2.3배

2023-06-16     홍헌표 기자

먹는 피임약에 우울증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를 바탕으로 25만명 이상 여성을 출생부터 폐경까지 분석한 결과로, 연구 결과는 '역학 및 정신과학(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에 최근 발표됐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의 피임약 사용 여부, 우울증을 처음 진단받은 시기, 공식 우울증 진단을 받지 못했어도 우울증 증상을 경험하기 시작한 시기 등을 조사했다. 대상자들이 복용한 피임약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모두 함유된 '복합 피임약'이었다.

먹는 피임약이 우울증 위험을 높인다는 스웨덴 연구 결과가 나왔다./캔서앤서DB

조사 결과, 성인이 돼 피임약을 처음 복용하기 시작한 여성은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피임약을 먹지 않은 여성의 1.92배였고, 10대부터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은 우울증 발병률이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의 2.3배였다.

피임약이 왜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지 명확히 입증되지는 않았다. 전문가들은 여성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일으켜 감정 처리와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연구팀은 "피임약이 여성에게 임신을 예방하고 난소암과 자궁암 위험을 줄이는 등 여러 이점을 가져다주지만, 부작용에 대해서도 확실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의료진은 피임약을 처방할 때 우울증이 생길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19년 미국 컬럼비아대도 10대에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은 성인이 됐을 때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3배나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