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으로... 폐 건강 위협!
코로나19로 일상이 된 마스크 착용. 쓰다버린 일회용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으로 바뀌면서 사람의 폐 건강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스크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성분의 나노플라스틱이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은 전북대 김범석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1㎚(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입자로 관찰·검출이 어려운 나노플라스틱은 폐기된 플라스틱이 광산화·풍화·자외선 등과 같은 물리적인 힘에 따라 미세한 입자로 변화한 것이다. 나노플라스틱은 대기 중 떠다니기 때문에 흡입을 통해 사람의 폐에 축적되거나 폐포까지 도달해 천식·폐 섬유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사용이 일상화된 일회용 마스크의 주원료인 PP 성분으로 된 나노플라스틱을 조사했다. 해당 나노플라스틱을 실험동물 기도에 서서히 떨어뜨려 폐 손상 여부를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폐에서 염증성 손상이 유발되고 호중구(백혈구 일종)성 염증 반응도 관찰됐다.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 PP 나노플라스틱을 노출했을 때는 A549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됐다. 연구팀 관계자는 "PP 나노플라스틱을 호흡기에 노출했을 때 폐 손상이 유발되는 구조를 실험동물과 세포주를 통해 입증했다"며 "PP가 주원료인 일회용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이 됐을 때 인체 건강과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사용 후 폐기·관리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