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남성과 2030 여성, 비만 적신호
질병관리청 통계...19~39세 여성은 비만ㆍ2단계비만 뚜렷한 상승세
성인 남성의 비만(체질량지수 25kg/m² 이상) 유병률이 2008년부터 매년 2.1%씩 증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성인 여성은 2단계 이상 비만(체질량지수 30kg/㎡ 이상) 유병률이 2008년부터 매년 3.1%씩 늘었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 보고서’ 내용이다.
보고서는 만 19세 이상 성인의 2008년 이후 비만 주요 지표의 장기간 추이 및 관련 요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전후 변화 등을 담았다. 비만은 체질량지수(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25kg/m² 이상으로, 2단계 이상 비만은 체질량지수 30kg/㎡ 이상으로 정의한다.
이 보고서에서 특히 눈에 띄는 내용은 “3040 남성과 2030 여성은 더 비만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인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2008년 35.9%에서 2021년 44.8%로 연간 2.1%씩 증가했다.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연간 6.3%씩 늘었다.
코로나19 유행 전(2018~2019년)과 유행 후(2020~2021년)를 비교하면, 남성의 비만은 30~49세에서 증가 폭이 컸다. 2단계 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증가가 뚜렷했다.
남성의 비만 관련 요인은 전 연령 공통으로 △높은 교육 수준 △사무직 △고위험 음주였다. 19~39세는 흡연과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과 지방 과잉섭취,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추가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성인 여성의 비만은 남자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이 2008년부터 매년 3.1%씩 증가했다. 특히 19~39세는 비만(연 2.0% 상승) 뿐만 아니라 2단계 이상 비만(2014년 이후 연 10.3% 상승) 증가가 뚜렷했다.
여성의 비만 관련 요인은 전 연령에서 공통으로 △낮은 교육 △낮은 소득 수준으로 나타나 남성과는 차이를 보였다.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 음주와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의 질, 60대 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추가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