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한약재는 '빈랑자', 암유발 '빈랑'과 다르다"
대한한의협 발표..."식약처 유전독성 검사 통과"
구강암을 유발한다는 이유로해 '죽음의 열매'로 불리는 빈랑이 최근 5년간 국내에 100톤 이상 수입됐다는 소식에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가운데, 대한한의사협회가 27일 "국민 불안과 혼란을 초래하는 주장"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문제가 된 중국산 열매 빈랑과 의약품용 한약재로 쓰는 빈랑자는 엄연히 다르며, 한의사들은 빈랑자를 안전하게 처방하고 있다"고 밝혔다.
빈랑은 중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위장 질환과 냉증 치료, 기생충을 퇴치하는 열매로 사용했고 각성 효과가 있어 껌처럼 씹는 사람도 많다.
열매를 먹으면 입안이 온통 빨갛게 변하는데 함유 성분이 구강암을 유발하고 중독·각성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의협은 "중국에서 식품으로 유통됐던 빈랑과 달리 빈랑자는 유전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의약품인 빈랑자의 경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처방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의협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관한 빈랑자에 대한 유전독성 시험 연구에서도 빈랑자가 유전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중국에서 문제가 된) 식품용 빈랑과 의약품용 한약재 빈랑자가 동일하게 언급돼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4일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빈랑을 기호품처럼 다량 소비하는 중국도 식품에서 제외했고 진열된 제품을 수거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국내에서는 한약재로 분류돼 수입통관 제재 없이 최근 5년간 103톤 넘게 수입됐다"고 주장했다.
한의협은 "빈랑 식품의 경우 한국에서는 금지 품목인데도 일부 보도에서 중국의 식품용 빈랑과 의약품용 한약재인 빈랑자를 동일하게 언급하고 심지어 이를 구분하지 않아 큰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올바른 의학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