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들어 '이것' 없으면 우울증 위험 2배 증가
우울증에 걸리지 않으려면, 사회활동을 해야겠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사회활동을 하지 않고 지인 등을 만나지 않으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것.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이 발표한 계명대 동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대현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사회활동 중에서 여가 모임이 잦을수록, 여성은 친목 모임과 여가 모임이 빈번할수록 우울증 위험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2006년과 2018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KLoSA)에 참여한 45세 이상 중·노년 3543명을 대상으로 상황별 우울 위험을 분석했다.
김 교수팀은 2006년 1차 조사에서 우울 증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의 12년 후(2018년) 사회활동별 우울증 유병률을 확인했다. 타인과의 교류가 거의 없는 중·고령 남성은 친한 사람과의 만남을 매일 갖는 남성보다 우울증 위험이 2.2배 높았다.
월 1∼2회나 주 1∼3회 교류하는 중·고령 남성보다 우울증 위험이 각각 1.4배, 1.3배였다. 사회적 만남이 거의 없는 중·고령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친한 사람과 매일 만나는 여성의 1.9배였다. 월 1∼2회나 주 1∼3회 교류하는 중·고령 여성보다 우울증 위험이 각각 1.4배 1.2배였다.
이는 지인과 만나는 횟수가 많을수록 우울증 위험이 감소한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또 다양한 사회생활 중에서 남성은 여가 모임, 여성은 친목 모임과 여가 모임이 많을수록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적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