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교수 등 과학자 11명 공저...생명의 근원을 찾아서...

[건강도서] 물질에서 생명으로

2020-04-24     전현지 기자

물질에서 생명으로

노정혜, 조윤제, 김빛내리, 김성훈 등 지음/ 반니 발행/ 2018년 

생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아직 이 질문의 답을 찾지 못했다. 인간은 과학을 통해 지구와 우주의 기원까지도 탐구하지만 여전히 생명의 신비 앞에서는 무력하다.

나날이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지금껏 난치라고 알려진 병을 치료하고, 무병장수의 비밀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생명의 기본물질인 단백질과 DNA, RNA 등을 연구하는 것은 질병 치료뿐 아니라 더 나은 삶으로 한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생명의 근원에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생명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DNA가 만들어내는 최초의 산물인 단백질에 대해서 안다면 건강과 질병의 문제를 푸는데 큰 도움이 된다. 생명의 실체라고도 할 수 있는 단백질은 늘 변화하지만, 정상적인 구조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질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유전자가 동일해도 단백질은 매일 달라진다. 연예인 중에 어떤 시기에는 멋진 미남이다가 어떤 때는 동일 인물인가 싶을 정도로 망가지는 사람이 있다. 모든 것이 유전자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까 같은 유전자라도 그 발현은 노력으로 바뀔 수 있다. 노력으로 단백질을 바꾸고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유전자로 모든 것이 결정되고 그걸로 끝이라면 인생의 노력이 무의미해지지 않겠는가.

'과학, 지식, 나눔'을 모토로, 대중이 과학을 쉽게 이해하고 즐기게 하려는 단체 카오스재단이 기획하고 11명의 과학자가 참여해 대중강연 형식으로 풀어낸 '물질에서 생명으로'는 가장 큰 생명의 수수께끼를 가장 작은 물질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도다. 

"누군가가 찰스 다윈에게 생명 자체가 처음에 어떠헥 태어났느냐고 물었다고 합니다. 그러자 다윈은 생명의 기원을 논할 바에는 차라리 물질의 기원을 노하는 게 나을 거라고 대답했습니다." 

생명의 기원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물질에서 무언가가 시작됐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책은 생명에 대한 해답을 주지는 않더라도 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임을 깨닫게 한다. 

11명의 과학자가 대중 강연의 형식을 풀어낸 이 책의 목차는 아래와 같다.

LECTURE 01 생명체의 탄생 _노정혜
생명체란 무엇인가? / 진화의 뿌리를 찾아서 / 최초의 생명체, 루카의 출현 / 원시세포의 출현 /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로

LECTURE 02 DNA: 생명체 번식과 다양성의 열쇠 _조윤제
DNA는 어떻게 발견되었는가? / 유전자의 복제 메커니즘 / 유전자와 환경 / 무궁무진한 생명의 다양성 / 다양성의 활용

LECTURE 03 리보핵산: 최초의 생명 물질로부터 메신저까지 _김빛내리
RNA와 DNA / RNA의 여러 기능 / RNA의 활용

LECTURE 04 단백질: 3차원의 마술사 _김성훈
DNA가 만드는 최초의 산물 / 단백질의 3차 구조란? / 아미노산이란? / 단백질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LECTURE 05 탄수화물의 달콤하고 끈적끈적한 비밀 _조진원
탄수화물이란? / 글리코믹스란? / 단당과 단백질의 결합

LECTURE 06 세포막: 경계와 소통 _윤태영
세포막의 성질 / 세포의 소통 / 세포막과 첨단 의학

LECTURE 07 우리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 _정종경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ATP / ATP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부산물들

LECTURE 08 우리 몸에 들어오는 외부 물질: 약인가, 독인가? _김병문
생체 이물질 / 의약의 정의와 개발 / 약물의 대사와 부작용 / 마약과 약물 중독

LECTURE 09 게놈으로 읽는 생명 _박종화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_김진수
게놈으로 읽는 생명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LECTURE 10 이상한 나라의 바이러스 _신의철
바이러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면역 반응과 회피 전략 /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 바이러스 백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