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수면장애 개선ㆍ알츠하이머 예방 효과"
GIST 연구팀 "비타민D 부족하면 혈중 칼슘 농도 저하"
햇빛을 받으면 생성되는 비타민D가 수면장애 개선과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타민D는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통해 체내에서 합성되는 지용성 호르몬으로, 칼슘과 인 대사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과 후성 유전학적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 비타민D가 충분하지 않으면 암과 자가면역질환, 심혈관질환 등의 발병률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태 교수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과 협력해 수면장애 개선과 비타민D 간 연관성을 밝혀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과 수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당서울대병원 근무자 353명(교대 150명, 비교대 203명)을 대상으로 체내 비타민D와 칼슘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교대·비교대 근무자 집단에서 비타민D가 낮을수록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았고, 비타민D와 칼슘 농도가 낮은 교대 근무자의 수면 장애가 비교대 근무자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슘 농도가 낮은 교대 근무자의 경우 '잠자리에 누운 시각부터 실제 잠든 시각(수면 잠복기)'과 '실제 잠든 시각부터 잠에서 깬 시각(총 수면시간)'이 모두 길었다.
비교대 근무자 집단에서 혈중 칼슘 농도에 따른 수면시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칼슘 농도가 낮으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일주기 리듬' 이상으로 자주 졸리고 활동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비타민D의 적절한 섭취가 중요하다는 점을 입증한 결과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인 뇌 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의 수치를 높이고, 기억력 저하를 가져온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알츠하이머병 유발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비타민D 결핍 실험과 보충 실험을 한 결과, 결핍군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 생산 관련 효소의 전사가 증가해 아밀로이드 베타 증가와 기억력 저하를 초래했다.
반면 비타민D를 보충하면 아밀로이드 베타가 감소하고 기억력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했다.
김태 교수는 "비타민D는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수면 장애와 치매를 동시에 개선하는 손쉽고 안전한 방법이라는 점을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영양학(Nutrients)'과 의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생체의학(Biomedicines)'에 각각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