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ㆍ흡연 등 위험요인 많은데도 건강한 '슈퍼 혈관' 있다
세브란스병원 이상학 교수팀, 특이 유전자 변이 발견
흡연, 고혈압, 당뇨병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이 있는데도 심혈관질환에 문제가 없는 사람이 있다. 상식적으로는 혈관 건강에 큰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 멀쩡한 소위 ‘슈퍼 혈관’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상학, 성균관의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이 그 비밀을 밝혀냈다. 26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이상학 교수팀은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을 많이 갖고 있어도 혈관이 깨끗한 사람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 심혈관질환은 고령,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유전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한 사람이 이러한 위험요인을 여러 가지 동시에 가지면 질환 발생 확률은 크게 높아진다. 그런데 위험요인을 여러 개 가졌는데도 혈관이 정상인 사람이 있다.
연구팀은 이런 사람들에게 혈관보호 유전자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조사를 진행했다. 성별·나이·혈압·콜레스테롤·당뇨병 등으로 향후 10년간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계산할 수 있는 프레밍험 위험도 점수가 14점 이상(10년 안에 심혈관질환 발생 확률 16% 이상)인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관상동맥조영술과 CT검사를 시행하고, 혈관이 정상인 슈퍼 혈관 그룹 72명과, 위험점수는 같지만 실제 심혈관질환을 앓는 일반 그룹 94명을 각각 연구했다.
연구팀은 유전체 전체에서 변이를 발굴하는 전장유전체연관분석(GWAS)를 활용해 슈퍼 혈관과 관련 있는 유전자 변이를 발굴했다. 또 유전자 발현량 조절 연구(eQTL)를 통해서 유전자 변이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량 차이가 실제로 인체 조직 변화를 발생시키는지 검증했다.
그 결과, 슈퍼 혈관과 관련된 변이가 있는 유전자 자리(locus) 10개를 발견했다. 유전자 자리는 혈관 생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PBX1와 인체 시계에 영향을 주는 NPAS2 유전자 등이 포함됐다. 변이가 있는 다른 유전자들의 인체내 역할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학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혈관질환 환자를 주로 대상으로 삼은 기존 연구를 뒤집어 혈관이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전통적인 위험요인을 넘어 새로운 의학적 표적을 발견해 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일본 동맥경화학회지(Journal of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