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만 되면 땀이 줄줄~ 다한증 해결책은?
연고, 보톡스, 수술 등 자신에게 최선의 치료법 선택
해마다 여름이 되면 과도하게 분비되는 땀 때문에 힘들다는 사람들이 있다. 많은 사람이 흔하게 경험하는 다한증이지만, 땀 때문에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면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한증을 유발하는 선행 질환 있는지 확인 필요
다한증은 비정상적으로 땀이 많이 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 겨드랑이, 팔다리의 접히는 부분, 이마, 코끝 등 신체 일부에 나타나는데, 전신에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은 자율신경계의 이상 현상으로, 신경전달의 과민 반응에 의해 생리적으로 필요 이상의 땀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한증이 있으면 다한증을 유발하는 선행 질환이 있는지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한증은 크게 선행 질환이 있는 ‘속발성 다한증’과 특별한 원인을 모르는 ‘원발성 다한증’으로 나뉜다.
속발성 다한증은 결핵, 당뇨병, 울혈성 심장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뇌하수체기능항진증, 폐기종 등이 있을 경우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이때는 주로 전신에 다한증 증세가 나타난다. 국소적 다한증은 척수에 병이 있거나 신경계통 질환, 뇌 관련 질환을 앓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 이외에 외상에 의해 신경분포가 바뀌었을 때도 국소적 다한증이 나타난다.
원발성 다한증은 온도 상승이나 활동량 증가보다는 정신적인 긴장 상태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원발성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대인관계에서 불편감을 느끼거나,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 결과 정신적인 위축을 받게 되고, 이는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는 데 지장을 준다.
치료법은 연고 활용, 보톡스 주사, 교감신경절제술 등
병원에서 다한증으로 진단받으면 내과적인 치료와 외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의사에게 자신의 다한증 증세와 상황을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내과적인 치료는 연고를 활용한 치료가 일반적이다. 연고로 땀샘 구멍을 막아 땀이 분비되지 못하게 해서 땀샘을 위축시키는 효과를 유도하거나, 땀샘 기능이 감소하게 만드는 것이다. 간단하고 부작용이 적은 방법이지만, 효과가 한시적이고 얼굴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보톡스를 이용해 다한증을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보톡스 주사를 맞으면 다한증 증상이 호전된다고 확인된다. 특히 겨드랑이 다한증이나 손발 다한증 치료에 많이 이용된다. 치료 효과가 5~6개월 정도 유지되므로 5~6개월마다 주사를 다시 맞아야 하며,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든다.
다한증의 외과적인 치료방법은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이다. 흉강경을 이용해 흉곽 내 교감신경을 절제해 다한증 증상을 호전시키는 방법이다. 치료 효과가 확실하고 수술 당일 퇴원할 수 있지만, 전신 마취를 해야 하고 종종 부작용이 나타난다. 다한증 수술의 부작용은 수술 후 기존에 땀이 안 나던 부위에서 과도하게 땀이 나는 ‘보상성 다한증’이다. 이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몸에서 땀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