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알레르기성결막염 주의보
꽃가루 날리면 외출 삼가고, 외출할 때는 안경 착용
해마다 봄이 되면 알레르기성결막염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알레르기성결막염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다. 알레르기성결막염 예방과 치료법을 살펴봤다.
눈 비비면 이차적으로 각막에 상처 발생
알레르기성결막염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나 황사 등의 미세먼지가 눈에 접촉해 결막을 자극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봄철에 날리는 꽃가루,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은 물론이고 동물의 비듬,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음식물, 화장품 등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꼽힌다.
알레르기성결막염이 있으면 눈이나 눈꺼풀의 가려움증, 결막의 충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전반적인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결막이나 눈꺼풀이 부풀어 오르는 증상도 동반된다. 눈곱의 경우 노란 눈곱이 아닌 끈적끈적하고 투명한 눈곱이 분비된다.
알레르기성결막염으로 가려워서 눈을 비비거나 눈곱 등을 닦다 이차적으로 각막에 상처가 생기고, 염증이 눈물층을 불안하게 만들어 안구건조증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심하면 각막염, 각막궤양 등이 나타나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알레르기성결막염 예방 및 치료법
생활 속에서 알레르기성결막염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다. 먼저, 꽃가루가 많이 날릴 때는 되도록 외출을 삼간다. 꼭 외출해야 한다면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고, 외출에서 돌아오면 바로 샤워한다. 항상 손을 깨끗이 씻고,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도록 신경 쓴다. 또한 반려동물은 침실 밖에 두고, 집먼지진드기를 예방하는 베개 커버나 매트리스를 사용하면 좋다. 살균・표백제 등을 사용해 집안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알레르기성결막염 치료는 대부분 약물을 이용한 증상 치료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약물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등이 사용된다.
심하지 않은 알레르기성결막염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는 히스타민이라는 화학물질의 역할을 줄이는 항히스타민제 안약을 투여한다. 만성적인 경우에는 히스타민을 덜 나오게 하는 약제인 비만세포안정제 안약을 사용한다. 증상이 심하면 먹는 제재인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다.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심한 알레르기성결막염에 쓰이지만, 장기 사용 시 안압 상승이나 백내장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에 냉장고의 얼음을 얇은 수건에 싸서 눈에 냉찜질하거나, 찬물로 눈 주위를 씻어주면 증상이 나아질 수 있다. 인공눈물을 점안하는 것도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