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다"
KAIST 조광현 교수팀, 대장암ㆍ유방암 세포 변환 기전 밝혀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일이 가능하다. 그동안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만을 찾아오던 것에서 암 치료의 방향이 바뀔 수 있는 발견이라는 평가다.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10년 가까이 연구한 끝에 실험실 단위에서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데 성공했다"면서 대장암·유방암 세포를 치료 가능한 정상세포로 변환하는 기전을 국제학술지 '분자암연구(Molecular Cancer Research)'와 '암연구(Cancer Research)' 등에 게재했다.
KAIST 연구진은 암치료제 연구에서 발상을 전환했다. 암세포를 죽이지 않고, 정상 세포로 변환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선택한 것.
의학계에선 암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한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즉, 암세포 자체는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수술, 항암치료 등 표준치료로 제거하는 게 암치료법의 핵심으로 본다. 또 암을 유발하는 특정 유전자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KAIST 연구팀은 생명현상이 단일 인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고 봤다. 연구팀은 생물학에 대규모 컴퓨터 시뮬레이션, 수학 모델링 등을 융합해 시스템 관점으로 암에 접근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암 발생 과정에서 임계전이 현상이 일어나는 사실을 최초 규명했다. 임계전이 현상이란 물이 100도라는 임계점에서 액체가 기체로 전이되듯, 암도 유전자 돌연변이를 거듭해 임계점에 도달할 때 암으로 전이된다는 사실이다. 임계점 전까진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어도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대장암·유방암 세포를 정상 세포로 변환시킬 수 있는 핵심 인자들을 대거 발견했다. 대규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2만여개 유전자의 상호작용으로 세포 기능을 모두 분석한 결과다. 실험실 단위에서 규명한 이 연구 결과가 임상시험으로 입증될 경우, 암을 당뇨·고혈압처럼 만성질환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조광현 교수는 "그동안 암은 유전자 변이 축적에 의한 현상이므로 되돌릴 수 없다고 여겨졌으나 이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이라며 "이 연구는 암을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항암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