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소변검사로 루푸스 합병증 진단
국내 연구진, 루푸스 신염 조기진단법 개발
국내 의료진이 소변을 통해 '루푸스 신염(신장염)'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법을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 류마티스내과 김용길 교수와 융합연구지원센터 김경곤 교수는 만성자가면역질환인 전신 홍반 루푸스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인 루푸스 신염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를 도출해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한 대조군과 신염이 없는 전신홍반 루푸스 환자군, 루푸스 신염 환자군을 대상으로 소변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종류와 양을 분석했다. 그 결과, 루푸스 신염 환자군에서는 소변 내 ORM1(Alpha-1 Acid Glycoprotein)이라는 급성 염증 단백질이 최대 6.47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변 내 HBD(Haemoglobin suBunit Delta) 단백질 양이 루푸스 신염의 활성도(Activity Index)와 비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HBD 단백질량이 증가할수록 루푸스 신염의 활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다른 회귀 분석 연구에서도 소변 내 4개의 단백질 조합과 루푸스 신염 간에 상관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신 단백질체 분석 기법(SWATH LC-MS)을 활용한 것으로 소변 검사만으로 증식성과 비증식성 루푸스 신염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루푸스 신염을 진단하기 위해 신장 조직 일부를 떄어 검사하는 방법보다 더 간단하고 조직 손상이나 출혈 같은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및 중개의학(Clinical and Translational Medicine, 피인용지수 11.492)’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