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코로나19 한의진료 센터' 운영

2022-01-12     최윤호 기자

코로나19 확진자 중 유증상자나 중증환자가 늘어나면서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와 코로나19 후유증, 백신 후유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코로나19 한의진료 접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한의진료 접수센터의 온라인 플랫폼과 전화로 진료를 의뢰한 환자는 전국에 있는 500여 곳의 코로나19 사전교육을 받은 한의원과 한방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대한한의사협회 홍주의 회장은 “지난 12월 22일부터 코로나19 한의진료 접수센터를 운영 중”이라며 “접수센터를 개소하고 누적 접속 건수만 11만 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홍 회장은 “한의계는 코로나19 발병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방역 및 관리, 치료에 참여하기를 요청했으나 번번이 특정 직역의 반대로 참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진료에 한의사 참여 여부를 지방자치단체에 맡긴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 한의 진료에 정부 차원의 지원은 없는 상태다. 한의협은 8000만 원을 긴급 투입해 재택치료 환자들이 무상으로 한의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확진 초기에는 청폐배독탕을 기본 처방으로 발열, 오한, 기침, 인후통 등이 주 증상일 때는 형방패독산 등이 사용된다. 설사,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면 곽향정기산, 발열, 인후통, 흉통 등과 호흡기 증상이 주증상이면 마행감석탕 등이 처방된다. 코로나19와 백신 후유증에는 구미강활탕, 연교패독산 등이 처방된다. 

홍 회장은 “코로나 치료에 아직 검증된 약 없이 대증치료만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양약이든 한약이든 활용 가능한 모든 방법이 동원돼야 한다”며 “유사질환에 사용하는 안전한 한약들로 후유증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의협은 이 같은 내용으로 국내와 해외의 임상 자료들을 취합해 20일 국회 공청회도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