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용어사전(38) 요도암・방광암・신우요관암의 이행세포암

2021-12-01     김민정 기자
요도암, 방광암, 신우요관암의 이행세포암은 '요로상피세포암'이라 부르기도 한다./게티이미지뱅크

이행세포암은 요도, 방광, 신우(오줌이 일시적으로 모이는 신장의 가장 안쪽 부분), 요관(신우에 모인 소변을 방광까지 운반해주는 가늘고 긴 관)의 표면에 있는 이행세포에 발생한 암을 말한다. 이행세포는 ‘요로상피세포’, 이행세포암은 ‘요로상피세포암’이라 부르기도 한다.

요도에 발생하는 요도암은 크게 원발성 요도암과 재발성 요도암으로 나눈다. 또한 요도를 덮고 있는 상피세포의 조직학적 종류에 따라 이행세포암, 편평세포암, 선암 등으로 분류한다.

방광에 생기는 방광암은 95% 이상이 이행세포에서 유래한 이행세포암이다. 그 외에 편평세포암이 3%, 나머지는 선암 및 기타 희귀한 세포 형태를 가진 암이 차지한다.

신우요관암은 소변의 이동 통로인 신우와 요관에 생기는 암으로, 소변과 직접 접촉하는 이행세포에서 유래한 이행세포암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그 외에 편평세포암, 선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