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파 vs 채식파..."식습관 따라 잘 걸리는 암 종류 다르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이정은 교수팀 연구 결과 공개
육식과 채식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느냐에 따라 발생 위험이 큰 암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소 육식을 즐기는 남성은 식도암ㆍ간암ㆍ위암 발생 위험이 낮은 반면 폐암ㆍ신장암 발생 위험은 컸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이정은 교수팀이 2004∼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정보자료를 활용해 국내 성인의 채소ㆍ육류 섭취 선호도와 암 발생 부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다. 이 연구 결과는 '채소 및 육류 섭취의 상대적인 선호도와 암 발생의 연관성: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정보자료 활용'이라는 제목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교수팀은 전체 연구 대상자를 △채식을 주로 하는 그룹 △채식ㆍ육식을 골고루 하는 그룹 △육식을 주로 하는 그룹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들의 암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남녀 모두 나이는 ‘채식 그룹’, '채식ㆍ육식을 함께 하는 그룹’, ‘육식 그룹’ 순으로 낮았다. ‘채식 그룹’에 속한 남성의 평균 나이는 46.4세(여 49.6세), ‘육식 그룹’으로 분류된 남성의 평균 나이는 38.2세(여 35.9세)였다.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는 남성에선 ‘육류 그룹’, 여성에선 ‘채식ㆍ육식을 함께 하는 그룹’에서 가장 높았다. 현재 흡연자와 현재 음주자 비율은 육식>육식ㆍ채식>채식 순이었다. 이는 육식을 즐기는 남녀는 상대적으로 나이가 어리고, 흡연ㆍ음주 가능성은 더 크다는 뜻이다.
남성 ‘육식 그룹’의 식도암ㆍ간암ㆍ위암 발생 위험은 낮았지만, 폐암ㆍ신장암 위험은 컸고, 전립선암은 ‘골고루 섭취하는 그룹’의 발생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육식 그룹’의 대장암ㆍ폐경 전 유방암ㆍ자궁내막암ㆍ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이 컸다. 여성의 간암 위험은 ‘골고루 섭취하는 그룹’에서 낮았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채소와 육류 섭취와 관련한 포괄적인 식습관이 일부 암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편, 논문은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세계암연구재단에서는 가공육과 적색육이 대장암의 위험 요인이라 발표하였으며, 메타분석 결과 채소 섭취량이 하루 200g씩 증가함에 따라 폐경 전 유 방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적절한 식습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