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치료, 다학제적(협진) 치료 필요한 이유는?
암은 복합적인 질병이다. 단순히 어떤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생긴다기보다는 생활습관 혹은 인생 전반에 걸쳐 축적된 결과가 암이라는 연구가 많다. 복합적인 질병이므로 치료법이 단순할 수 없다. 암을 그냥 잘라내는 걸로 치료가 끝나면 좋겠지만, 잘라낼 수 없는 암도 있고, 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것도 있어서 암 치료는 어렵고 복잡하다.
암의 병기, 암의 위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가지 측면을 고려해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암 표준치료는 크게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3가지로 나뉜다.
표준치료의 개념에서 보면 3가지를 적절히 활용하는 게 최선이다. 암을 잘라내는 수술은 외과가 담당하고, 약물로 치료하는 항암치료는 보통 종양내과,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학과 담당이다. 암을 치료하는 입장, 관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3가지 표준치료를 담당할 전문가들이 처음부터 함께 진료와 치료에 참여하는 것을 다학제 진료/치료라고 한다.
수술만으로 완치가 가능한 단순하고 초기상태인 암의 경우는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없지만, 어느 정도 진행된 암이라면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 다른 과 의사들에게 의견을 구하거나 '협진'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접근법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대형병원들을 중심으로 협진 시스템을 만들어 한번에 치료를 결정하고 시도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최적의 치료가 가능할 뿐 아니라 환자들의 입장에서도 한번 병원을 방문했을 때 다양한 검진을 받아 효율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는 길이 되기도 한다.
실제 다학제적 치료의 예(분당차병원의 경우)를 들어보면 절차는 다음과 같다.
환자가 암 진단을 받으면 혈액검사와 영상검사 결과를 다학제 통합진료팀(내과, 혈액종양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등 참여) 교수들이 통합진료를 준비한다. 환자는 코디네이터의 안내에 따라 다학제 통합 진료에 참석해 치료 방향을 듣게 된다.
환자는 다학제진료팀과 협의하고 결정된 치료방향에 따라, 적절한 진료과로 배정되어 치료를 받게 된다. 주치의의 판단이나 환자의 요청에 의해 언제든 추가적 다학제 진료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