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있으면 수면무호흡증 발병 위험 1.96배
대사증후군이 수면무호흡증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수환, 김도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2009~2018년) 자료를 활용해 성인 1011만3560만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폐쇄성수면무호흡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그룹은 비(非) 대사증후군 그룹에 비해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발생 위험이 1.57배로 더 높았다. 수면무호흡증은 남성 30대, 여성 50대에서 많았다.
연구팀은 또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5가지 중 해당되는 게 많을수록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드는(위험 요소 5가지 중 3가지 이상 해당) 그룹은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그렇지 않은 그룹의 1.96배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는 동안 순간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린다. 체중과 뇌활동 및 염증을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뇌혈관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 고중성지방혈증(중성지방 150mg/dL 이상), 낮은 HDL콜레스테롤(남성 40mg/dL 미만, 여성 50mg/dL 미만), 고혈압(130/85mmHg 이상), 혈당 장애(공복혈당 100mg/dL 이상 또는 당뇨약 복용) 중 3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진단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 4월 22일자로 게재되었다.